히가시쿠니 도시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가시쿠니 도시코는 메이지 천황과 소노 사치코의 아홉 번째 딸로, 1896년 5월 11일에 태어났다. 1915년 황족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과 결혼하여 4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남편이 육군 중장, 내각총리대신을 지내는 동안 육해군장교부인회 회장을 역임했다. 1947년 남편과 함께 황적을 이탈하여 평민이 되었고, 1978년 3월 5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쇼 시대 사람 - 히라타 도스케
히라타 도스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내대신 등을 역임하며 일본 법제 정비에 기여하고 무신조서 공포를 주도하는 등 사회 정책에도 관여했다. - 다이쇼 시대 사람 - 시미즈 도루
시미즈 도루는 일본 제국의 법학자이자 관료로, 제국대학 법과대학 수석 졸업 후, 행정재판소 장관, 추밀원 고문관 등을 역임했으며, 일본국 헌법 시행 후 국체 위기를 우려하여 자결했다. - 쇼와 시대 사람 - 소가 히토미
소가 히토미는 1978년 북한에 납치되어 북한에서 결혼 후 두 딸을 낳았으나, 2002년 일본으로 일시 귀국하여 현재까지 어머니의 석방을 촉구하며 일본에 남아 납북자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는 인물이다. - 쇼와 시대 사람 - 와쓰지 데쓰로
와쓰지 데쓰로는 서양 철학과 일본 사상을 융합하려 했던 일본의 철학자이자 윤리학자로, 『풍토』와 『윤리학』 등의 저서를 통해 윤리학, 문화, 역사 분야에 기여했으며, 그의 사상이 일본 윤리학과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본 민족주의 옹호에 활용된 점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배우자 - 기시다 유코
기시다 유코는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의 부인이자 일본의 영부인으로, 도쿄 여자 대학에서 일본 문학을 전공하고 마쓰다에서 근무했으며, 2023년에는 일본 총리 부인 최초로 단독으로 미국을 방문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배우자 - 하토야마 미유키
하토야마 미유키는 1943년 상하이 출생으로 다카라즈카 가극단 배우, 작가, 요리 연구가로 활동했으며, 2009년 남편 하토야마 유키오의 총리 취임으로 영부인이 되었다.
히가시쿠니 도시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야스노미야 도시코 내친왕 (泰宮聡子内親王) |
출생 | 1896년 5월 11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도쿄부 도쿄시 |
사망 | 1978년 3월 5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
배우자 |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친왕 (1915년 결혼) |
자녀 |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모로마사 히가시쿠니 아키쓰네 히가시쿠니 도시히코 히가시쿠니 |
아버지 | 메이지 천황 |
어머니 | 소노 사치코 |
친척 | 일본 황실 |
신분 | |
신분 | 내친왕 → 왕비내친왕 → (황적 이탈) |
경칭 | 전하 → (황적 이탈) |
휘 | |
휘 | 히가시쿠니 도시코 (東久邇 聡子) |
칭호 | |
칭호 | 야스노미야 (泰宮, Yasu-no-miya) |
어인 | |
어인 | 효 (孝) |
묘소 | |
묘소 | 일본 도쿄도 분쿄구, 도요시마오카 묘지 |
훈장 | |
훈장 | 훈일등 보관장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Higashikuni Toshiko |
2. 생애
1896년(메이지 29년) 5월 11일 메이지 천황과 후궁 소노 사치코의 아홉 번째 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야스노미야'(泰宮)라는 궁호를 받았다.
1915년(다이쇼 4년) 5월 18일, 황족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과 결혼하여 훈1등 보관장을 받았다.[8][9] 나루히코 왕과의 사이에서 네 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남편이 육군 중장으로 복무할 때는 육해군장교부인회의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남편 나루히코 왕은 이후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
1947년(쇼와 22년) 10월 14일, 연합군 점령기에 이루어진 대규모 신적강하 조치에 따라 남편과 함께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으며, 이름도 '''히가시쿠니 도시코'''로 바뀌었다. 평민이 된 이후에는 남편의 사업 실패 등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해진다.
1978년(쇼와 53년) 3월 5일, 향년 83세(만 8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8][9] 도시코의 사망으로 메이지 천황의 자녀는 모두 세상을 떠났으며, 그녀는 메이지 천황의 마지막 생존 자녀였다. 메이지 천황의 다른 자녀들이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과 달리, 도시코는 언니 키타시라카와 후사코와 함께 신적강하 이후에도 장수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896년 5월 11일 메이지 천황과 후궁 소노 사치코 사이에서 아홉 번째 딸로 태어났다.[8][9] 어린 시절에는 '''야스노미야'''(泰宮)라는 칭호를 받았다.2. 2. 결혼과 황족 생활
1915년(다이쇼 4년) 5월 18일, 황족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과 결혼하였다. 나루히코 왕은 결혼 전인 1906년 11월 3일, 메이지 천황으로부터 '히가시쿠니노미야'(ja)라는 궁호와 함께 황족으로서 새로운 분가를 이루는 것을 허락받은 인물이었다. 도시코는 결혼과 동시에 훈1등 보관장을 수여받았다.남편 나루히코 왕이 육군 중장으로 복무할 당시, 도시코는 육해군장교부인회의 회장을 맡아 활동하기도 했다.
나루히코 왕과의 사이에서는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盛厚王|모리히로 왕일본어 | 1917년 5월 6일 | 1969년 2월 1일 |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의 장녀이자 사촌인 테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 |
師正王|모로마사 왕일본어 | 1918년 11월 3일 | 1923년 9월 1일 | 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사망. |
彰常王|아키쓰네 왕일본어 | 1920년 5월 13일 | 2006년 8월 30일 | 1940년 황족 신분을 포기하고 후작 粟田 彰常|아와타 아키쓰네일본어가 됨. |
俊彦王|도시히코 왕일본어 | 1929년 3월 24일 | 2015년 4월 15일 | 1943년 황족 신분을 포기하고 백작 三条実春|산조 사네하루일본어의 양자가 되어 多羅間 俊彦|타라마 도시히코일본어가 됨. 이후 1950년 브라질 상파울루 주 린스로 이주. |
한편, 남편 나루히코 왕은 '발전가'(発展家일본어)로 불릴 만큼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궁가(ja)의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자주 했다고 전해진다. 이로 인해 아내인 도시코가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나루히코 왕이 유럽 유학 중일 때 이복형인 다이쇼 천황의 병세가 위중하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그는 답답한 일본 황실 생활로 돌아가는 것을 꺼려 귀국을 미루었다. 이에 일본에서 집안을 지키던 도시코가 "내 체면이 말이 아니다"라며 남편의 수행원에게 심정을 토로하는 편지를 보낸 것이 남아있다.[5]
1940년(쇼와 15년) 8월 15일에는 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을 받았다.[6] 이후 남편 나루히코 왕은 내각총리대신을 지내기도 했으나, 1947년(쇼와 22년) 신적강하 조치로 인해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 이때 도시코 역시 남편을 따라 황족 신분을 잃고 '''히가시쿠니 도시코'''가 되었다.
2. 3. 신적강하 이후
1947년 (쇼와 22년) 10월 14일, 연합군 점령 하에 대규모의 신적강하가 이루어지면서 남편 나루히코 왕과 함께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8][9] 이때부터 이름은 '''히가시쿠니 도시코'''로 불리게 되었다.평민이 된 이후에는 남편의 사업 실패 등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많은 고생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8년 (쇼와 53년) 3월 5일, 향년 83세(만 81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8][9] 도시코의 사망으로 메이지 천황의 자녀는 모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메이지 천황의 많은 자녀들이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과 달리, 도시코는 언니인 키타시라카와 후사코와 함께 신적강하 이후에도 장수한 황녀였다.
2. 4. 사망
1978년 3월 5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9] 이로써 메이지 천황의 자녀는 모두 사망하게 되었으며, 도시코는 메이지 천황의 마지막 생존 자녀였다. 메이지 천황의 자녀 대부분이 요절하거나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한 것과 달리, 도시코는 언니 키타시라카와 후사코와 함께 신적강하 이후에도 장수했다.3. 가족 관계
1896년 (메이지 29년) 5월 11일, 메이지 천황( 明治天皇일본어 )과 후궁 소노 사치코( 園祥子일본어 ) 사이의 아홉 번째 딸로 태어났다. 어릴 적 궁호는 야스노미야( 泰宮일본어 )이다.
1915년 (다이쇼 5년) 5월 18일,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東久邇稔彦일본어 )와 결혼했다. 나루히코 왕은 결혼 전인 1906년 11월 3일 메이지 천황으로부터 '히가시쿠니노미야'( 東久邇宮일본어 )라는 궁호와 함께 황족으로서 새로운 분가를 허락받았다. 남편 나루히코 왕은 훗날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기도 했다(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도시코는 남편과의 사이에서 4남을 두었다.
남편 나루히코 왕은 '발명가'로 유명했으며, 궁가의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유럽 유학 중이던 나루히코 왕에게 이복형인 다이쇼 천황의 건강이 위독하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그는 답답한 일본으로 돌아가기 싫어 귀국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일본에서 집을 지키던 아내 도시코가 "내 체면이 말이 아니다"라며 남편의 수행원에게 보낸 편지가 남아있다.[5]
1947년 (쇼와 22년) 10월 14일, 연합군 점령기에 다이쇼 천황 직계 후손을 제외한 다른 황족들과 함께 남편 나루히코 왕과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다(신적강하). 이후에는 '''히가시쿠니 도시코'''( 東久邇聡子일본어 )로 불렸다.
1978년 (쇼와 53년) 3월 5일,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도시코의 사망으로 메이지 천황의 자녀(다이쇼 천황과 그 형제자매)는 모두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메이지 천황의 많은 자녀들이 요절하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40~50대에 사망한 경우가 많았으나, 도시코는 언니인 기타시라카와 후사코와 함께 신적강하 이후에도 장수했다.
관계 | 이름 (원문) | 생몰년 | 비고 |
---|---|---|---|
아버지 | 메이지 천황 ( 明治天皇일본어 ) | 1852년 ~ 1912년 | 제122대 천황 (재위: 1867년 ~ 1912년) |
어머니 | 소노 사치코 ( 園祥子일본어 ) | 1867년 ~ 1947년 | 메이지 천황의 후궁 |
시아버지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久邇宮朝彦親王일본어 ) | 1824년 ~ 1891년 | |
남편 | 히가시쿠니 나루히코 ( 東久邇稔彦일본어 ) | 1887년 ~ 1990년 | 초대 히가시쿠니노미야 당주, 내각총리대신 역임 |
장남 | 히가시쿠니 모리히로 ( 東久邇盛厚일본어 ) | 1917년 ~ 1969년 | 쇼와 천황의 장녀 히가시쿠니 시게코와 결혼 |
차남 | 모로마사 왕 ( 師正王일본어 ) | 1918년 ~ 1923년 | 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사망 |
3남 | 아와타 아키쓰네 ( 粟田彰常일본어 ) | 1920년 ~ 2006년 | 1940년 황족 신분을 포기하고 후작 아와타 아키쓰네가 됨 |
4남 | 다라마 도시히코 ( 多羅間俊彦일본어 ) | 1929년 ~ 2015년[10][11][12] | 타라마(多羅間) 백작가의 양자로 입적, 1950년 브라질 상파울루 주 린스로 이주 |
4. 사진
5. 가계도
히가시쿠니 도시코는 메이지 천황과 측실 소노 사치코 사이에서 태어난 아홉 번째 황녀이다.[2] 아명은 야스노미야(泰宮)이다. 부계로는 고메이 천황의 손녀이며, 모계로는 소노 모토사치 백작의 외손녀이다.[2]
메이지 천황은 여러 황후 및 측실에게서 많은 자녀를 두었으나 대부분 요절하였고, 성인으로 성장한 자녀는 다음과 같다.
- 다이쇼 천황 (제3황자, 어머니: 야나기하라 나루코)
- 마사코 내친왕 (제6황녀, 어머니: 소노 사치코)
- 후사코 내친왕 (제7황녀, 어머니: 소노 사치코)
- 노부코 내친왕 (제8황녀, 어머니: 소노 사치코)
- '''히가시쿠니 도시코''' (제9황녀, 어머니: 소노 사치코)
1915년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과 결혼하였다. 나루히코 왕은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홉 번째 아들로, 고준 황후의 숙부이자 쇼와 천황의 외숙부에 해당한다. 나루히코 왕과의 사이에서 4명의 아들을 두었다.
- 장남: 모리히로 왕 (盛厚王, 1916년–1969년)
- 차남: 모로마사 왕 (師正王, 1917년–1923년, 간토 대지진으로 사망)
- 삼남: 아키쓰네 왕 (彰常王, 1920년–2006년, 아와타(粟田) 가문에 양자로 들어가 후작위를 계승)
- 사남: 도시히코 왕 (俊彦王, 1929년–2015년, 타라마(多羅間) 가문에 양자로 들어감)
특히 장남 모리히로 왕은 1939년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의 첫째 딸인 데루노미야 시게코 내친왕과 결혼하여, 천황가와 히가시쿠니 가문은 더욱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남편 나루히코 왕은 비교적 자유로운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 유학 중 이복형인 다이쇼 천황의 병세가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귀국을 주저하여 일본에 있던 도시코가 곤란을 겪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5]
참조
[1]
웹사이트
多羅間鉄輔(たらま・てつすけ)
http://www.cenb.org.[...]
[2]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7-09-06
[3]
문서
皇室略牒 宮内省図書寮
https://dl.ndl.go.jp[...]
[4]
서적
『華ひらく皇室文化』 2018
[5]
서적
宮家の時代―セピア色の皇族アルバム
朝日新聞社
2006
[6]
간행물
官報 第4438号・付録「辞令二」
1941-10-23
[7]
웹인용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 TOP -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の由来 - 東久邇宮盛厚殿下について
http://higashikunipr[...]
2017-04-27
[8]
문서
《20世紀日本人名事典》〈東久邇 聡子〉항목
https://kotobank.jp/[...]
[9]
문서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東久邇 聡子〉항목
https://kotobank.jp/[...]
[10]
뉴스
■訃報■多羅間"殿下"亡くなる=皇籍離脱した明治天皇の孫
http://www.nikkeyshi[...]
2017-04-27
[11]
문서
[12]
웹인용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 TOP - 東久邇宮国際文化褒賞の由来 - 東久邇宮盛厚殿下について - 家系図
http://higashikunipr[...]
2017-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